[즉문즉답] 33.자식은 또 다른 나 자신임을 알아야 합니다.
[강정사 성수스님의 즉문즉답]
33.자식은 또 다른 나 자신임을 알아야 합니다.
[즉문]
스님,
초등학생 아들이 있는데요.
요즘 들어
버릇없이 구는 때가 많네요.
화도 내보고,
매도 들어보고,
겁도 줘보고,
달래도 봤는데,
고집만 부리고,
달라지는 게 없어요.
바르게 키우려면
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?
[즉답]
삼보에 귀의하옵고,
법우님께서 이렇게 다시 찾아주시니 반갑습니다.
고통을 참고,
견뎌야 하는 세상을
사바세계(娑婆世界)라고 하듯이
알고도 짓고,
모르고도 지은 업은
행복과 불행의
과보로 나타남이라,
부부의 연을 맺어
만나게 된 자식은
선악의 행업으로
말미암은 과보(果報)이자,
또 다른 나 자신임을
바르게 알아야 합니다.
나의 이 형상은
스스로 지은 것도 아니고,
남이 지은 것도 아니다.
인연이 모이면 생기고,
인연이 흩어지면 곧 없어진다.
세상의 모든 씨앗이
땅을 의지하여 생성되는 것처럼
인연이 화합하면 낳고,
인연이 헤어지면 없어진다.
- 잡아함경 -
말을 듣지 않을 때마다
큰 소리로 화를 낸다면
부모를 두려워하여
그 순간을 모면할 뿐,
본래의 의도를
전달하기가 어려워
잘못을 고치지 않고,
잘못을 숨기기 마련이라,
자식의 잘못을
바로잡아야 할 때에는
과거의 나를
돌아보게 해 줘서 고맙구나!
부모님의 사랑을
알게 해 줘서 고맙구나! 하며,
순간의 감정이 아닌
반성과 참회의 마음을 내어
부모의 모습을 보고,
자식이 배울 수 있도록
매 순간 한 눈 팔지 않고,
끊임없이 교감해야 한다고 보니,
내 배 아파 나은 자식이
부처님이라는 생각으로
자식을 위한 마음을
올곧게 전하시길 바랍니다.
밝고 행복한 앞날에
부처님의 가피력과 자비광명이 함께하시기를
스님 온 마음을 다해 축원 합니다.
화청향성법음범패
나의사찰 강정사 성수합장